맨위로가기

코소보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소보 전투는 1389년 6월 15일 코소보 평원에서 세르비아와 발칸 제후 연합군이 오스만 제국 군대와 벌인 전투이다. 세르비아 제국의 쇠퇴와 오스만 제국의 발흥을 배경으로, 세르비아의 라자르 공작과 오스만 제국의 무라드 1세가 이끄는 군대가 격돌했다. 전투 결과는 오스만 제국의 승리로 끝났으며, 세르비아는 오스만 제국에 종속되었다. 이 전투는 발칸 지역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세르비아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코소보 전쟁의 역사적 배경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코소보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아담 스테파노비치의
아담 스테파노비치의 "코소보 전투" (1870년작)
날짜1389년 6월 15일
장소코소보 평원
결과무승부
교전 세력
교전국 1오스만 제국
지원 세력 1이스펜디야르 후국
교전국 2모라비아 세르비아
지원 세력 2브란코비치 영지
보스니아 왕국
무자카 공국
요니마 가문
지휘관 및 지도자
오스만 제국무라트 1세 (전사)
바예지드 1세
야쿠브 첼레비 (처형)
모라비아 세르비아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 (전사)
부크 브란코비치
블라트코 부코비치
병력 규모
오스만 제국27,000–40,000명
모라비아 세르비아12,000–30,000명
사상자
오스만 제국매우 많음
모라비아 세르비아매우 많음
관련 전투 목록

2. 배경

강력한 황제의 뒤를 이은 약한 황제의 통치는 중앙 권력의 쇠퇴와 수많은 사실상 독립적인 공국의 부상으로 특징지어졌으며, 이 시기를 세르비아 제국의 몰락이라고 한다.[8][9] 우로시 5세는 1371년 12월 자식 없이 사망했는데, 그 해 초 마리차 전투에서 세르비아 귀족의 대부분이 오스만 제국에 의해 파괴된 이후였다.[10] 구 제국 북부(모라비안 세르비아)의 통치자인 라자르 공작은 오스만 제국의 위협을 인지하고 그들을 상대로 한 원정을 위한 외교적, 군사적 준비를 시작했다.

플로치니크 (1386)와 빌레차 (1388)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배한 후, 무라드 1세는 1388년 봄에 그의 군대를 필리포폴리스에서 이흐티만 (현 불가리아)으로 이동시켰다. 거기에서 그들은 벨부즈드와 크라토보(현 북마케도니아)를 거쳐 코소보로 향했다. 이 경로는 소피아와 니샤바 계곡을 통과하는 대체 경로보다 길었지만, 발칸에서 가장 중요한 교차로 중 하나인 코소보로 오스만 군대를 이끌었다. 코소보에서 그들은 라자르 공작 또는 부크 브란코비치의 영토를 공격할 수 있었다. 무라드와 그의 군대는 쿠마노보, 프레셰보, 질란을 거쳐 프리슈티나에 도착했고, 6월 14일에 도착했다.

라자르는 니시 근처, 사우스 모라바의 오른쪽에 군대를 모았다. 그의 군대는 무라드가 벨부즈드로 이동했다는 것을 알게 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을 것이고, 그 후 프로쿠플레를 거쳐 코소보로 이동했다. 이곳은 그가 선택할 수 있는 최고의 전장이었는데, 무라드가 갈 수 있는 모든 경로를 그가 통제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1389년6월 15일[64], 코소보 평원에서 세르비아 후작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와 보스니아 국왕 Tvrtko I of Bosnia|스체판 트브르트코 1세영어, 왈라키아 대공 미르체아 1세 등으로 구성된 발칸 반도 제후 연합군이, 무라드 1세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 군과 회전을 벌였다.

2. 1. 세르비아 제국의 쇠퇴와 오스만 제국의 발흥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 황제(1331–1355년 재위) 사후, 그의 아들 스테판 우로시 5세(1355–1371년 재위)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스테판 우로시 5세의 통치 기간 동안 중앙 권력은 쇠퇴하였고, 사실상 독립적인 여러 공국들이 등장하면서 세르비아 제국의 몰락이 시작되었다. 우로시 5세는 선황이 이룩한 거대한 제국을 유지하거나 외세의 침략을 막아내지 못했으며, 귀족들의 독립을 억제하는 데에도 실패하였다. 1371년, 마리차 전투에서 세르비아 귀족 군대의 대부분이 오스만 제국에게 패배한 직후, 우로시 5세는 후사 없이 사망하였다.[8][9][10] 과거 제국 북부(모라비안 세르비아)의 통치자였던 라자르 공은 오스만 제국의 위협을 인지하고, 이에 대항하기 위한 외교적, 군사적 준비를 시작하였다.

플로치니크 전투 (1386)와 빌레차 전투 (1388)에서 오스만 제국이 패배한 이후, 당시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었던 무라드 1세는 1388년 봄에 군대를 필리포폴리스에서 이흐티만 (현재 불가리아)으로 이동시켰다. 이후 오스만 군대는 벨부즈드와 크라토보(현 북마케도니아)를 거쳐 코소보로 향했다. 이는 소피아와 니샤바 계곡을 통과하는 경로보다 길었지만, 발칸 반도에서 가장 중요한 교차로 중 하나인 코소보로 이어지는 길이었다. 코소보에서 무라드 1세는 라자르 공작 또는 부크 브란코비치의 영토를 공격할 수 있었다. 무라드와 그의 군대는 쿠마노보, 프레셰보, 질란을 거쳐 프리슈티나에 도착했고, 6월 14일에 그곳에 머물렀다.[11]

2. 2.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의 등장과 동맹 결성

세르비아 후작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는 오스만 제국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보스니아 국왕 Tvrtko I of Bosnia|트브르트코 1세영어 등과 동맹을 맺었다. 이들은 1389년6월 15일[64] 코소보 평원에서 무라드 1세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군과 전투를 벌였다.

3. 준비

코소보 평원에서 양측 군대가 만났다. 오스만 제국 군은 무라드 1세가 직접 지휘했으며, 그의 아들 바예지드가 우익을, 또 다른 아들 야쿠브가 좌익을 맡았다. 약 1,000명의 궁병들이 양쪽 날개 맨 앞에 배치되었고, 아잡스와 아킨시스가 이들을 지원했다. 중앙에는 예니체리들이 배치되었고, 무라드 1세는 중앙 뒤편에서 기병 호위대의 호위를 받았다. 후방의 보급 마차는 소수의 병력이 보호했다.[79]

발칸 동맹군은 세르비아의 공작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가 중앙에, 부크 브란코비치가 우익에, 블라트코 부코비치가 좌익에 위치했다. 발칸 군의 전위에는 중장 기병대가, 양쪽 날개 뒤편에는 궁병들이 배치되었다. 오스만 군과 발칸 군의 중앙 배치는 서로 겹쳐지는 형태였으나, 완벽하게 대칭을 이루지는 않았다.[79]

오스만 측 기록에 따르면, "화살의 물결이 움직임 없는 강철의 산과 같이 서 있던 세르비아 군에게 다가왔을 때 그들은 세차게 밀려오는 바다와 같이 말을 달리기 시작했다."[81]

마리차 전투와 코소보 전투 당시의 투르크 갑옷

3. 1. 군대의 이동

무라드 1세는 1389년 봄, 군대를 이끌고 필리포폴리스(플로브디브)를 출발했다.[78] 소피아와 니샤바 계곡을 지나는 짧은 경로 대신, 벨부즈드(큐스텐딜)와 크라토보를 경유하는 긴 경로를 택했는데, 이는 발칸반도의 중요한 통상로 중 하나이자 전략적 요충지인 코소보를 확보하기 위한 선택이었다.[78]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는 니시 인근에서 군대를 소집하여 무라드 1세의 이동 경로를 주시하다가, 프로쿠플제를 통과해 코소보로 향하는 오스만 군을 확인하고 코소보 평원에서 결전을 준비했다.[78] 이는 라자르가 무라드 1세의 군대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였다.[78]

3. 2. 군대의 구성

정확한 양측 군대의 규모는 자료에 따라 차이가 커서 불분명하다. 하지만 대체로 오스만 군이 세르비아 동맹군보다 수적으로 우세했던 것으로 보인다.[12][13][14] 무라드 1세의 군대는 27,000명에서 40,000명 사이로 추정되며,[74][75][76][78] 예니체리 군단(2,000명~5,000명),[80] 무라드 근위 기병대(2,500명), 시파히 기병대(6,000명), 아킨지(비정규 경무장 보병 및 기병, 20,000명) 및 봉신들의 병력(8,000명)으로 구성되었다.[78] 무라드 1세는 군대를 직접 지휘했으며, 그의 아들 바예지드와 야쿠브가 각각 우익과 좌익을 지휘했다. 양익의 전열에는 약 1,000명의 궁병들이 배치되었고, 중앙 전열에는 예니체리들이 배치되었다. 무라드는 중앙 배후에서 기병 호위군에 둘러싸여 있었고, 배후의 보급 마차는 소수의 기병들이 보호했다.[79] 오스만 작가들은 라자르의 군대가 무라드보다 훨씬 많다고 묘사하여 "터키의 승리"에 영광을 더하기 위해 라자르 군대의 규모와 중요성을 과장하려 했을 가능성이 크다.[14]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가 이끄는 세르비아 동맹군은 12,000명에서 30,000명 사이로 추정된다.[74][75][76][77] 라자르의 주력 부대는 그의 공국에서 온 세르비아 병력이었고, 그의 사위 부크 브란코비치의 군대, 라자르의 동맹 보스니아 국왕 트브르트코 1세가 보낸 브라트코 부코비치 휘하의 보스니아 군대가 포함되었다.[17] 라자르 군에는 알바니아인, 크로아티아인, 헝가리인, 불가리아인도 포함되었다.[18][19][33] 테오도르 2세 무자카, 디미테르 요니마 및 기타 알바니아 영주와 귀족들은 기독교 연합 측에 참전하여 알바니아인 부대를 이끌고 라자르의 군대에 합류했다.[20][21][22][23][24][25][26] 발칸 동맹군은 세르비아 공작 라자르가 중앙에, 부크 브란코비치가 우익에, 블라트코 부코비치가 좌익에 위치했다. 발칸 군의 전위에는 중장 기병대가, 양 익의 후위에는 궁병들이 배치되었다.[79]

4. 전투

1389년 6월 15일[64] 코소보 평원에서 세르비아 후작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와 보스니아 국왕 Tvrtko I|스체판 트브르트코 1세bs, 왈라키아 대공 미르체아 1세 등이 이끄는 발칸 반도 제후 연합군이 오스만 제국의 무라드 1세 군대와 격돌했다. 이 전투는 오스만 제국의 대승으로 끝났다.

4. 1. 군대의 배치

코소보 평원에 전투 전 배치된 양군 진형


오스만 제국 군은 무라드 1세가 중앙을 지휘했으며, 그의 아들 바예지드가 우익을, 또 다른 아들 야쿠프가 좌익을 맡았다. 약 1,000명의 궁수들이 양 날개에 배치되었고, 예니체리는 중앙에서 무라드 1세와 기병대의 지원을 받으며 위치했다.[35] 오스만 측 자료에 따르면 무라드 1세는 세르비아 기병대를 놀라게 하기 위해 낙타를 전방에 배치했다고 한다. 파샤 이이이트 베이는 오스만 군 지휘관 중 한 명이었다.[36]

세르비아 군은 코소보 벌판의 프리슈티나에서 북서쪽으로 약 약 4.83km 떨어진 곳에 집결했다.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 공이 중앙을 지휘했고, 부크 브란코비치가 우익을, 보스니아 장군 블라트코 부코비치가 좌익을 지휘했으며, 여기에는 외국 부대도 포함되었다. 강력한 세르비아 기병대가 최전선에 배치되었고, 활을 든 경기병은 측면에 배치되었다.[35]

4. 2. 전투의 전개

전투는 오스만 궁병들이 세르비아 중장기병들에게 화살을 날리면서 시작되었다.[79] 세르비아 기병들은 V자 모양으로 배치되어 오스만 군 좌익을 돌파하려 했으나, 오스만 군 중앙과 우익의 반격에 막혔다.[79]

발칸 군은 첫 번째 돌격으로 야쿠브 셀레비가 지휘하는 오스만 군 좌익에 큰 타격을 주었다.https://www.deremilitari.org/resources/articles/emmert.htm 그러나 기사들의 돌격 이후, 오스만 군의 경장 기병과 경무장 보병들이 반격하면서 유리한 위치를 점했고, 발칸 군의 무거운 갑옷은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했다. 중앙에서는 발칸 병사들이 블락토 부코비치의 지휘 아래 오스만 군을 밀어내려 했으나, 바예지드 1세가 이끄는 오스만 군의 반격에 밀려났다. 바예지드 1세는 이 전투를 통해 "번개"라는 별명을 얻었고, 훗날 술탄이 되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오스만 군이 유리해졌고, 결국 오스만 군은 전투의 승리를 확정지었다.

4. 3. 무라드 1세의 죽음과 바예지드의 즉위

밀로슈 오빌리치는 전투 중, 혹은 전투 직후에 오스만 제국의 술탄 무라드 1세를 암살했다.[82] 이는 전투에서 사망한 유일한 오스만 술탄의 사례이다. 세르비아 측 기록에는 그가 오스만 군에 투항하는 척하며 무라드 1세에게 접근하여 암살했다고 기록되어 있다.[82] 그는 술탄의 바로 앞에서 무릎을 꿇고 있다가 술탄의 배를 찔러 죽였으며, 즉시 술탄의 호위병들에게 살해당했다.[82]

무라드 1세가 죽은 후, 그의 아들 바예지드 1세는 즉시 술탄으로 즉위하여 전투를 지휘했다. 바예지드는 자신의 동생 야쿠브를 처형하여 권력을 공고히 했다.[82]

5. 영향

1389년 6월 15일[64] 코소보 평원에서 벌어진 코소보 전투는 세르비아 후작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와 보스니아 국왕 Tvrtko I|스체판 트브르트코 1세bs, 왈라키아 대공 미르체아 1세 등이 연합한 발칸 반도 제후 연합군과 오스만 제국의 무라드 1세가 이끄는 군대 간의 전투였다. 이 전투는 오스만 제국의 대승으로 끝났다.[65]

이 전투로 오스만 제국은 도나우강 이남의 지배권을 확립하고, 세르비아, 마케도니아 및 불가리아를 복속시켰다. 오스만 제국은 발칸 반도 정복에 큰 성과를 거두었으나, 무라드 1세는 세르비아 귀족 밀로시 오빌리치에게 암살당했다.[65] 오스만군은 보복으로 포로인 세르비아 공작 라자르를 살해했고, 바예지드 1세가 술탄에 즉위하여 발칸 정복 사업을 계승했다.

이슬람 세력인 오스만 제국의 발칸 반도에서의 확고한 존재감은 유럽·기독교 세계를 자극하여,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지기스문트를 비롯한 유럽 제후들이 "십자군"을 결성하는 계기가 되었고, 이는 1396년니코폴리스 전투로 이어졌다.

전투가 벌어진 코소보는 세르비아 왕국의 성지가 되었다.

5. 1. 세르비아의 몰락과 오스만 제국의 발칸 지배 강화

1389년 코소보 전투는 오스만 제국의 중대한 승리로 끝났으며, 1371년 마리차 전투와 더불어 세르비아인들에게 큰 절망을 안겨주었다. 이 두 전투의 패배로 세르비아는 오스만 제국에 공납을 바치고 병사를 제공하는 종속 국가가 되었다.[66][67][68][69][70][71][72][73] 세르비아 왕 라자르 흐레벨랴노비치는 전사했고, 바예지드 1세는 라자르의 아들 스테판을 주요 동맹으로 삼아 그의 딸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스테판은 이후 바예지드 1세의 여러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 전투의 결과로 오스만 제국은 도나우강 이남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하고, 세르비아, 마케도니아, 불가리아를 복속시켰다. 오스만 제국은 발칸 반도 정복에 큰 성과를 거두었으나, 무라드 1세는 세르비아 귀족 밀로시 오빌리치[65]에게 암살당했다. 이후 바예지드 1세가 술탄에 즉위하여 발칸 정복 사업을 이어갔다. 오스만 제국의 발칸 반도 지배 강화는 유럽·기독교 세계를 자극하여, 1396년 니코폴리스 전투로 이어지는 십자군 결성을 촉발했다.

5. 2. 세르비아 민족주의와 코소보 신화

코소보 전투는 세르비아 애국주의의 상징이 되었고, 오스만 제국 치하에 있던 19세기에 독립에 대한 열의를 불러일으키는 구실을 했다. 코소보 전투의 상징성은 20세기 후반 코소보 전쟁 동안 현대적인 맥락에서 쓰이기도 하였다.[11]

1980년대 세르비아 민족주의를 내세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등장하자, 코소보의 자치권이 대폭 제한되고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등에서 난민이 된 세르비아인을 이주시키는 정책이 시행되었다. 이로 인해 코소보에서의 민족 균형이 크게 무너져 1990년대 후반의 코소보 전쟁으로 이어졌다.[65]

5. 3. 코소보 전쟁과의 연관성

코소보 전투는 세르비아 애국주의의 상징이 되었고, 오스만 제국 치하에 있던 19세기에 독립에 대한 열망을 불러일으키는 구실을 했다. 코소보 전투의 상징성은 20세기 후반 코소보 전쟁 동안 현대적인 맥락에서 쓰이기도 하였다.

1980년대 세르비아 민족주의를 내세운 밀로셰비치코소보의 자치권을 대폭 제한하고,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등에서 난민이 된 세르비아인을 이주시키는 정책을 시행했다. 이로 인해 코소보에서의 민족 균형이 크게 무너져 1990년대 후반 코소보 전쟁으로 이어졌다.[66][67][68][69][70][71][72][73]

참조

[1] 논문
[2] 논문
[3] 서적 Later Medieval Europe: 1250-1520 https://books.google[...] Routledge
[4] 서적 War and Peace in the Balkans: The Diplomacy of Conflict in the Former Yugoslavia https://books.google[...] I. B. Tauris
[5]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Christian Orthodox Church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논문
[7] 웹사이트 ИСТОРИЈА КОЈУ НИСМО УЧИЛИ НА ЧАСОВИМА: Милош Обилић је био турски заточник, али јесте убио Мурата на Косову https://www.intermag[...]
[8] 서적 The Cambridge Medieval History: The Byzantine Empi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Eastern Europe: An Introduction to the People, Lands, and Culture [3 volum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10] 서적 East Central Europe: A Concise History https://books.google[...] Instytut Studiów Politycznych Polskiej Akademii Nauk, Instytut Jagielloński
[11]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논문
[15] 서적 Ottoman Borderlands: Issues, Personalities, and Political Changes https://books.google[...] Center of Turkish Studies, University of Wisconsin
[16] 서적 Transcultural wars from the Middle Ages to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Akademie
[17] 논문
[18] 서적 The A to Z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9] 논문
[20] 뉴스 Between Serb and Albanian: A History of Kosovo https://archive.nyti[...] The New York Times Archives
[21] 서적 Histoire des Albanais Fayard
[22] 웹사이트 1515 John Musachi: Brief Chronicle on the Descendants of our Musachi Dynasty http://www.albanianh[...] Albanianhistory.net 2012-02-13
[23] 간행물 La Macédoine Occidentale dans l'histoire des Albanais du VIIe au XVe siècle https://www.ceeol.co[...]
[24] 서적 Kosovo: avoiding another Balkan war https://books.google[...] Hellenic Foundation for European and Foreign policy
[2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Kosova https://books.google[...] Scarecrow
[26] 서적 Kosovo - Kosova: Mythen, Daten, Fakten https://books.google[...] Wieser
[27] 논문
[28] 간행물 The Battle of Kosovo 1389 and the Albanians https://dergipark.or[...] 2021-03-29
[29] 서적 The battle of Kosovo, 1389: an Albanian epic https://books.google[...] I. B. Tauris
[30] 서적 Albania: a Patrimony of European Values Guide of Albanian History and Culture Heritage https://books.google[...] SEDA
[31] 서적 La question nationale en Europe du sud-est: genèse, émergence et développement de l'identité nationale albanaise au Kosovo et en Macédoine https://books.google[...] Peter Lang
[32] 서적 Later Medieval Europe: 1250-1520 https://books.google[...] Routledge
[33] 논문
[34] 서적 The Case for Kosova: Passage to Independence Anthem
[35] 서적 Battles that Changed History: An Encyclopedia of World Conflict https://books.google[...] ABC-CLIO
[36] 서적 Putopisi: odlomci o jugoslovenskim zemljama https://books.google[...] Sarajevo-Publishing 2013-07-26
[37] 서적 Vitezi Kneza Lazara https://books.google[...] Narodna Knjiga Beograd
[38] 백과사전 Battle of Kosovo Polj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9] harvnb
[40] 서적 The Growth of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harvnb
[41] 인용 Prilozi k srpskoj istoriji XIV i XV veka
[42] harvnb
[43] 학술지 Lanz Zervas and the British liaison officers Dositey Obradovich Circle
[44] 학술지 Overrun with Ghosts of Conflicts Past https://books.google[...] Delegation of the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45]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Yugoslav Peopl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서적 Essays on Turkish Literature and History https://books.google[...] Brill
[47] harvnb
[48] 서적 Kosovo: Legacy of a Medieval Battl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nnesota
[49] 서적 Kosovska bitka u istoriografiji: Redakcioni odbor Sima Ćirković (urednik izdanja) [... et al.]. https://books.google[...] Zmaj 2013-09-11
[50] harvnb
[51] 서적 The Ottoman Empire, 1300-1650: the structure of power Palgrave Macmillan
[52] 서적 Bloodlines: From Ethnic Pride to Ethnic Terrorism https://books.google[...] Westview
[53] 서적 The Ottoman Empire, 1700-1922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08-11
[54]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1: Empire of the Gazis: the rise and decline of the Ottoman Empire, 1280–1808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harvnb
[56] 학술지 The problem of resurrection of Kosovo mythology in Serbian popular culture
[57] 서적 From Collective Memories to Intercultural Exchanges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12-11-28
[58] 서적 The Historicity of International Politics: Imperialism and the Presence of the Pas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9] 서적 The Battle of Kulikovo refought: "the first national feat" Brill 2017
[60] harvnb
[61] 서적 Disequilibrium, Polarization, and Crisis Model: A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Explaining Conflic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13-05-16
[62] 서적 Art and Human Right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Contemporary Issues Edward Elgar
[63] 서적 Der Erste Weltkrieg und das Ende der Habsburgermonarchie 1914–1918
[64] 문서
[65] 문서
[66] 웹사이트 Battle of Kosovo http://www.britannic[...]
[67] 웹인용 Kosovo Field, ''Columbia Encyclopedia'' http://www.bartleby.[...] 2008-07-07
[68] 웹인용 Kosovo, Battle of, ''Encarta Encyclopedia'' http://encarta.msn.c[...] 2008-07-07
[6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Kosova
[70]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Ancient, Medieval, and Modern, Chronologically Arranged
[71] 서적 Global Terrorism
[72] 서적 Parliaments and Politics During the Cromwellian Protectorate
[73] 서적 Genocide: a critical bibliographic review
[74] 서적인용 East Central Europe in the Middle Ages, 1000-1500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75] 서적인용 The History of Serbia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76] 서적인용 The Reader's Companion to Military History Houghton Mifflin Books
[77] 서적인용 Vojna Enciklopedija Vojnoizdavacki zavod
[78] 서적인용 Vojna Enciklopedija Vojnoizdavacki zavod
[79] 서적인용 Vojna Enciklopedija Vojnoizdavacki zavod
[80] 서적 Transcultural Wars from the Middle Ages to the 21st Century Akademie Verlag
[81] 문서 Mehmet Nesri
[82] 서적 The Desperate Act: The Assassination of Franz Ferdinand at Sarajev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